FrontEnd
-
[gulp-jsdoc] jsdoc 실행시 "esprima.js" 3872줄에서 오류나는 경우FrontEnd/그외 2017. 4. 24. 10:51
\node_modules\gulp-jsdoc\node_modules\jsdoc\node_modules\esprima\esprima.js:3872 라며 쿨하게 오류를 뱉어주는 상황이나왔다. 확인해보니 이건 "jsdoc"이 ES6구문을 해석하지 못하는것.. 그래서.. 다 ES5로 다시 했지~ (신기술 따위...) 산출물이 먼저닷!!! PS. ESDOC 이라고 ES6도 해석해주는 것도 있다고 함.
-
모듈과 컴포넌트의 차이FrontEnd/용어집 2017. 3. 30. 14:42
이런 저런 이야기가 많았는데, 내가 바라보는 차이만 정리한다. 모듈(Module)- 기능을 기준하여 분리된 단위. 컴포넌트(Component)- 외형(GUI)을 기준하여 분리된 단위. 부트스트랩을 기준하면,- Grid System은 모듈이다.- wall은 컴포넌트이다. - 버튼 1개는 컴포넌트이고, 버튼의 컬러별 또는 크기별로 구현해 놓은것은 모듈이다.- 버튼의 색상을 바꾸고, 크기를 늘려서 한개의 버튼을 만들면, 그건 컴포넌트이다. 나만 이해 되면 됬지 뭐..
-
[gulp] "TypeError: Cannot assign to read only property" 로 나올때.FrontEnd/버그리포트 2017. 3. 30. 14:38
gulp.src() 의 작성법이 잘못되어서 파일을 못가져왔을때 "TypeError: Cannot assign to read only property '프로머티명' " 어쩌구 하며 실행이 불가능하다. 참고http://stackoverflow.com/questions/30412928/gulp-typeerror-cannot-assign-to-read-only-property-cwd-of-bower-bootstrap
-
[구글 page speed] 방문 페이지 리디렉션을 사용하지 마세요.FrontEnd/번역 2017. 3. 20. 13:22
(작성 편의를 위해, 리디렉션을 리다이렉트로 표기합니다.) PageSpeed Insights에서 지정된 URL에서 최종 랜딩 페이지로 둘 이상의 리다이렉트가 있으면 안됩니다. 개요리다이렉트는 http에 대한 추가적인 요청을 하여 페이지의 랜더징을 지연시킵니다. 가장 좋은 경우는 http가 한번만 요청 및 응답하는 것이며, 최악의 경우에는 http요청과 함께 - DNS 조회- TCP 핸드 쉐이크- TLS 협상 과정을 거치게 되며, 여러가지 문제에 대한 응답시간이 지연됩니다. 따라서 사이트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리다이텍트 사용을 최소화 해야 합니다. 예제- example.com 으로 접속하면, 반응형웹으로서 단일응답만 이루어진것(리다이렉트가 없음, 가장좋은 예)- example.com → m.exam..
-
[카카오톡] 카카오톡에 걸린 링크의 캐시 삭제.FrontEnd/버그리포트 2017. 2. 16. 15:36
카카오톡에 링크를 보내게 되면,해당 URL에 대한 og 메타정보를 캐시하고, 링크 될때마다 사용한다. 대충 보니, 00시 초기화 인거 같긴한데 거기까진 분석이 안됬고... 하여튼 페이스북 처럼 og에 대한 초기화 과정을 검색해보니, 초기화하는 페이지가 있었다. https://dev.kakao.com/docs/cache 해당 페이지로 이동해서 초기화 하고자 하는 URL을 입력하고 초기화 시키면 된다. 참고로 og정보를 캐시하는 타이밍은 누군가가 한번이라도 해당 링크를 공유했을때 생성되는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