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gulp-jsdoc] jsdoc 실행시 "esprima.js" 3872줄에서 오류나는 경우FrontEnd/그외 2017. 4. 24. 10:51
\node_modules\gulp-jsdoc\node_modules\jsdoc\node_modules\esprima\esprima.js:3872 라며 쿨하게 오류를 뱉어주는 상황이나왔다. 확인해보니 이건 "jsdoc"이 ES6구문을 해석하지 못하는것.. 그래서.. 다 ES5로 다시 했지~ (신기술 따위...) 산출물이 먼저닷!!! PS. ESDOC 이라고 ES6도 해석해주는 것도 있다고 함.
-
모듈과 컴포넌트의 차이FrontEnd/용어집 2017. 3. 30. 14:42
이런 저런 이야기가 많았는데, 내가 바라보는 차이만 정리한다. 모듈(Module)- 기능을 기준하여 분리된 단위. 컴포넌트(Component)- 외형(GUI)을 기준하여 분리된 단위. 부트스트랩을 기준하면,- Grid System은 모듈이다.- wall은 컴포넌트이다. - 버튼 1개는 컴포넌트이고, 버튼의 컬러별 또는 크기별로 구현해 놓은것은 모듈이다.- 버튼의 색상을 바꾸고, 크기를 늘려서 한개의 버튼을 만들면, 그건 컴포넌트이다. 나만 이해 되면 됬지 뭐..
-
[gulp] "TypeError: Cannot assign to read only property" 로 나올때.FrontEnd/버그리포트 2017. 3. 30. 14:38
gulp.src() 의 작성법이 잘못되어서 파일을 못가져왔을때 "TypeError: Cannot assign to read only property '프로머티명' " 어쩌구 하며 실행이 불가능하다. 참고http://stackoverflow.com/questions/30412928/gulp-typeerror-cannot-assign-to-read-only-property-cwd-of-bower-bootstrap
-
크로스브라우징(A.K.A 노가다)에 관하여.Note/나는 웹퍼블리셔 입니다 2017. 3. 22. 10:19
퍼블리셔라면, 대부분 업무진행후에 크로스브라우징 이라 명명된 업무를 진행한다.사용자가 어떤 브라우저로 웹사이트를 이용할지 모르니, 각 브라우저별로 접속해보고, 레이아웃에 관련하여 확인해보는 과정인데나는 개인적으로 이 과정에서 제일 중요하게 보는 관점은 "기능적인 부분이 제대로 되었는가" 라는 부분이다. 레이아웃이 약간 깨진다고, 사용자가 정보를 습득하지 못하는 경우는 사실 흔치 않다.그냥 보기에 안좋을뿐 인 경우가 대다수이다. 하지만 기능적인 측면으로 인해, 레이아웃이 깨지면서 정보를 습득하지 못하거나,또는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 기능은 개발자가 알아서 할 문제이다 라는 관점으로 접근한다면,퍼블리셔 로서의 자격이 미달이라 생각한다. 기능에 대한 검증은 개발자 몫이라고 할..
-
[구글 page speed] 방문 페이지 리디렉션을 사용하지 마세요.FrontEnd/번역 2017. 3. 20. 13:22
(작성 편의를 위해, 리디렉션을 리다이렉트로 표기합니다.) PageSpeed Insights에서 지정된 URL에서 최종 랜딩 페이지로 둘 이상의 리다이렉트가 있으면 안됩니다. 개요리다이렉트는 http에 대한 추가적인 요청을 하여 페이지의 랜더징을 지연시킵니다. 가장 좋은 경우는 http가 한번만 요청 및 응답하는 것이며, 최악의 경우에는 http요청과 함께 - DNS 조회- TCP 핸드 쉐이크- TLS 협상 과정을 거치게 되며, 여러가지 문제에 대한 응답시간이 지연됩니다. 따라서 사이트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리다이텍트 사용을 최소화 해야 합니다. 예제- example.com 으로 접속하면, 반응형웹으로서 단일응답만 이루어진것(리다이렉트가 없음, 가장좋은 예)- example.com → m.exam..